코코도롱 2024. 12. 31. 22:29
반응형

미리보는 내용

1. 네트워크 기초

2. 네트워크 토폴로지 (위상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)

3. 네트워크 규모에 따른 분류

4. 네트워크 성능 분석 명령어


1. 네트워크 기초

네트워크란 ?

노드와 링크가 서로 연결되어 있어, 리소스를 공유하는 집합

 

 

 

 

 

 

 

노드 : 서버, 라우터, 스위치, PC 등 네트워크 장비

링크 : 연결 (무선, 유선)

 

좋은 네트워크란? (네트워크의 목적에 따라 적절한 것이 중요)

- 많은 *처리량

- 짧은 **지연시간

- 적은 장애 빈도

- 좋은 보안

 

*처리량 : 성공적으로 전달된 데이터의 양 (단위 bps, bits per second)

**지연시간 : 요청이 처리되는 시간( = 메시지가 두 장치 사이를 왕복하는데 걸린 시간)
                   지연시간은 매체타입(유/무선), 패킷 크기, 라우터의 패킷 처리 시간 등에 영향을 받음 


2. 네트워크 토폴로지 (위상에 따른 네트워크 분류)

 

네트워크 토폴로지 종류 (그림)

토폴로지 유형 장점 단점
트리 (Tree) - 계층적 구조로 확장성 우수(추가, 삭제 쉬움)
- 관리 및 디버깅 용이
- 부분적인 장애가 전체에 영향을 덜 미침
- 특정 노드에 트래픽 집중시, 하위 노드 영향
- 복잡한 구조로 인해 설치 및 유지보수 비용 증가
버스 (Bus) - 설치가 간단하고 비용이 저렴
- 소규모 네트워크에 적합
- 케이블 길이를 최소화 가능
- 중앙 통신 회선 손상 시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
- 트래픽 증가 시 성능 저하
- *스푸핑으로 인한 문제
스타 (Star) - 중앙 집중형 관리로 문제 진단 용이
- 노드 고장이 네트워크 전체에 영향을 미치지 않음
- 확장 용이
- 중앙 허브 고장 시 전체 네트워크 장애
- 허브 및 케이블 비용 증가
링 (Ring) - 데이터 충돌이 적음
- 전송 순서가 명확하여 효율적
- 양방향 데이터 흐름 가능
- 노드나 케이블 손상 시 전체 네트워크 장애
- 확장 및 수정 어려움
- 데이터 전송 지연 가능
메시 (Mesh),
망형
- 높은 신뢰성과 데이터 전달 속도
- 노드 간 직접 연결로 장애 허용성이 높음
- 확장성 우수
- 복잡한 구조와 높은 설치 비용
- 관리와 유지보수 어려움
- 불필요한 연결로 인해 자원 낭비 가능

 

*스푸핑이란? : 특정 Entity(사용자, 서버, 네트워크 장치 등)를 속여 자신을 신뢰받는 다른 Entity 가장하는 행위

※ 병목 현상 : 전체 시스템의 성능이나 용량이 하나의 구성 요소로 인해 제한을 받는 현상

→ 네트워크 구조(토폴로지)는 병목 현상 분석의 기본이 된다.


3. 네트워크 규모 기반 분류

항목 LAN MAN WAN
커버리지 수백 미터에서 수킬로미터 이내
(한 건물, 한 캠퍼스 등)
수십 킬로미터 이내
(도시)
수백 킬로미터에서 전 세계 수준
(국가, 대륙)
전송 속도
(일반적)
1Gbps 이상 100Mbps ~ 10Gbps 수십 Mbps ~ 수백 Mbps
연결 방법 이더넷, Wi-Fi 등으로 연결 광섬유, 전용선, 무선 링크 등으로 연결 공용 통신망, 위성, 전용선 등 다양한 연결 방식
예시 가정, 학교, 회사 내의 네트워크 도시 내의 공공 Wi-Fi, 대학교 네트워크, 대도시 간의 네트워크 인터넷, 글로벌 기업의 네트워크, 국가 간 연결
주요 특징 - 작은 영역에서 고속 데이터 전송
- 일반적으로 높은 대역폭
- 상대적으로 설치 및 유지보수가 간단
- 대도시 내에서 중간 규모 네트워크
- 여러 LAN을 연결할 수 있음
- 장거리 연결로 대규모 네트워크 지원
- 공용 및 전용 회선 사용

4. 네트워크 성능 분석 명령어

명령어  Windows  Linux  설명
Ping ping [IP 주소 또는 도메인] ping [IP 주소 또는 도메인]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확인하는 명령어. 타겟 호스트와의 연결을 테스트하고 응답 시간을 측정.
Netstat netstat netstat 네트워크 연결 상태를 보여주는 명령어. 현재 연결된 포트, 프로토콜 및 상태 등을 확인.
Nslookup nslookup [도메인 이름] nslookup [도메인 이름]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IP 주소를 도메인 이름으로 변환. DNS 서버와의 통신 확인.
Tracert tracert [IP 주소 또는 도메인] traceroute [IP 주소 또는 도메인] 패킷이 목적지에 도달하기까지 거친 경로와 각 중간 노드의 응답 시간을 표시. 경로 추적 명령어.

세부 설명

  1. Ping
    • 목적: 특정 IP 주소나 도메인에 대한 연결 상태를 확인하고, 그에 대한 응답 시간을 측정합니다.
    • Windows: ping [IP 또는 도메인]
    • Linux: ping [IP 또는 도메인]
    • 예시: ping www.google.com
  2. Netstat
    • 목적: 네트워크 연결, 라우팅 테이블, 인터페이스 통계 등을 표시하여 현재 네트워크 상태를 분석합니다.
    • Windows: netstat (옵션을 추가하여 더 많은 정보 제공 가능)
    • Linux: netstat (옵션을 추가하여 더 많은 정보 제공 가능)
    • 예시: netstat -a (모든 연결 표시)
  3. Nslookup
    • 목적: DNS 서버를 이용해 도메인 이름을 IP 주소로 변환하거나 그 반대로 변환하여 DNS 문제를 진단합니다.
    • Windows: nslookup [도메인 이름]
    • Linux: nslookup [도메인 이름]
    • 예시: nslookup www.google.com
  4. Tracert/Traceroute ( Linux에서는 설치가 필요할 수 있음, sudo apt install traceroute)
    • 목적: 데이터를 전송하는 경로를 추적하고 각 중간 노드에서의 응답 시간을 표시합니다.
    • Windows: tracert [IP 또는 도메인]
    • Linux: traceroute [IP 또는 도메인]
    • 예시: tracert www.google.com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