반응형
네트워크 기기는 HW 별로 글을 별도로 추가 작성하자
하드웨어 별로 자세히 더 조사할 예정
1. 스위치 (Switch)
- 역할:
- LAN(Local Area Network)에서 데이터를 전송하는 장치.
- MAC 주소 기반으로 데이터를 전송하여 특정 장치로만 데이터를 보냄.
- 특징:
- 브로드캐스트를 제한하여 네트워크 성능 향상.
- 주로 L2(데이터 링크 계층)에서 작동하지만, L3 스위치(라우팅 기능 추가)도 존재.
2. 브리지 (Bridge)
- 역할:
- 두 개의 네트워크를 연결하고 트래픽을 필터링.
- 데이터 링크 계층(L2)에서 작동.
- 특징:
- 네트워크 세그먼트를 나눔으로써 충돌 도메인(Collision Domain)을 감소.
- 스위치와 유사하나, 상대적으로 적은 포트를 가짐.
3. NIC (Network Interface Card)
- 역할:
- 컴퓨터나 장치를 네트워크에 연결.
- 특징:
- 물리적 연결과 데이터 전송을 처리.
- 무선(Wi-Fi) NIC와 유선(이더넷) NIC로 구분됨.
4. 리피터 (Repeater)
- 역할:
- 신호를 증폭하여 더 먼 거리까지 전송 가능하게 함.
- 특징:
- 물리 계층(L1)에서 작동.
- 데이터의 내용을 변경하지 않고 단순히 신호를 증폭.
5. AP (Access Point)
- 역할:
- 무선 네트워크에 장치를 연결하는 중계기 역할.
- 특징:
- 유선 네트워크와 무선 네트워크를 연결.
- Wi-Fi 장치를 무선 LAN에 통합.
6. 로드 밸런서 (L7 스위치)
- 역할:
- 응용 계층(L7)에서 트래픽을 분산하여 여러 서버로 전달.
- 서버 부하 분산 및 트래픽 최적화.
- 특징:
- 웹 애플리케이션 트래픽 관리에 사용됨.
- 트래픽 라우팅 시 URL, 쿠키, HTTP 헤더 등 고급 정보를 활용.
- 고가용성(High Availability) 및 장애 복구(Failover) 지원.
반응형
'SW > 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2.5 HTTP (0) | 2025.01.07 |
---|---|
2.4 IP주소 (0) | 2025.01.07 |
2.2 TCP/IP 4계층 모델 (0) | 2025.01.07 |
2.1 네트워크 기초 (0) | 2024.12.31 |
면접을 위한 cs 전공지식 노트 요약본 (2) | 2024.12.31 |